가상 클래스 심화
1. 고급 포커스 선택자
1.1 :focus-visible
:focus
와 유사하지만 :focus
는 포커스된 요소에 항상 적용되는 반면, :focus-visible
은 좀 더 선택적으로 작동합니다.
:focus-visible
은 주로 키보드를 사용하여 페이지를 탐색할 때나 스크립트를 통해 포커스가 관리될 때 활성화됩니다. 이는 사용자가 현재 어떤 요소에 포커스가 있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그러나 마우스나 터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요소에 물리적으로 포커스를 설정할 때는 일반적으로 :focus-visible
이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이미 자신이 어떤 요소를 선택했는지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focus-visible
의 주요 목적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이 가상 클래스를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각적 표시를 줄여 인터페이스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키보드 사용자에게는 명확한 포커스 표시를 제공하여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주의
:focus-visible
의 정확한 동작은 브라우저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일부 브라우저에서는 마우스 클릭으로도 :focus-visible
이 트리거될 수 있습니다.
1.2 :focus-within
요소 또는 그 자식 요소가 포커스를 받았을 때 적용됩니다.
:focus-within
은 폼 디자인에 특히 유용합니다. 사용자가 특정 입력 필드에 포커스를 맞출 때 전체 폼 그룹의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2. 상태 관련 가상 클래스 선택자
2.1 :enabled
활성화된 상태의 폼 요소를 선택합니다.
2.2 :disabled
비활성화된 상태의 폼 요소를 선택합니다.
2.3 :checked
체크된 상태의 라디오 버튼이나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선택자 고급
3.1 :root
:root
는 문서 트리의 루트 요소를 선택합니다. HTML에서는 <html>
요소를 가리킵니다. 이는 전역 CSS 변수를 선언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CSS 변수는 --
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지며, var()
함수를 사용하여 값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스타일을 더 쉽게 재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CSS Variables(CSS 사용자 정의 속성)는 특히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할 때 매우 유용하며,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할 때는 주로 색상 시스템, 그리드 시스템, 아이콘 시스템 등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변수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CSS Variables의 주요 장점으로는 우선 유지보수성 향상을 들 수 있습니다. 스타일 값을 한 곳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할 수 있어, 전체적인 디자인 일관성을 유지하기 쉽고 값을 변경할 때도 한 곳만 수정하면 됩니다. 두 번째로 JavaScript를 통해 동적으로 값을 변경할 수 있어 실시간 테마 변경이나 다크 모드 구현이 용이합니다. 세 번째로 calc() 함수와 함께 사용하여 동적 계산이 가능하므로 반응형 디자인 구현에 효과적입니다.
3.1.1 테마 전환
CSS 변수는 테마 전환에 특히 유용합니다. 다크 모드와 라이트 모드를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root {
/* 라이트 모드 (기본) */
--background-color: #ffffff;
--text-color: #333333;
--accent-color: #0066cc;
}
[data-theme='dark'] {
/* 다크 모드 */
--background-color: #222222;
--text-color: #f0f0f0;
--accent-color: #4d9fff;
}
body {
background-color: var(--background-color);
color: var(--text-color);
}
a {
color: var(--accent-color);
}
:root {
/* 라이트 모드 (기본) */
--background-color: #ffffff;
--text-color: #333333;
--accent-color: #0066cc;
}
[data-theme='dark'] {
/* 다크 모드 */
--background-color: #222222;
--text-color: #f0f0f0;
--accent-color: #4d9fff;
}
body {
background-color: var(--background-color);
color: var(--text-color);
}
a {
color: var(--accent-color);
}
JavaScript에서는 간단히 아래와 같이 테마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 다크 모드로 전환
document.documentElement.setAttribute('data-theme', 'dark');
// 라이트 모드로 전환
document.documentElement.removeAttribute('data-theme');
// 다크 모드로 전환
document.documentElement.setAttribute('data-theme', 'dark');
// 라이트 모드로 전환
document.documentElement.removeAttribute('data-theme');
3.2 :is()
and :where()
:is()
와 :where()
는 여러 개의 선택자를 한꺼번에 지정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is()
는 여러 개의 선택자를 지정할 때 사용하며, :where()
는 :is()
와 유사하지만, 우선순위가 낮습니다.
여러 개의 선택자를 선택하는 것은 기존에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가능했습니다.
h1,
h2,
h3 {
color: blue;
}
h1,
h2,
h3 {
color: blue;
}
다만 만약 h1과 h2와 h3 안에 있는 요소를 선택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하나씩 선택자를 지정해야 했습니다.
h1 a,
h2 a,
h3 a {
color: blue;
}
h1 a,
h2 a,
h3 a {
color: blue;
}
이러한 경우 :is()
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is(h1, h2, h3) a {
color: blue;
}
:is(h1, h2, h3) a {
color: blue;
}
역시 익스플로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지원하고 있으므로 충분히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지원 여부where()
는 :is()
와 유사하지만, 우선순위가 낮습니다. 아래 예제를 보며 is()
와 where()
를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 어떻게 처리되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확인이 되었다면 is()
를 삭제해 보세요.
3.2.1 :where()
활용
:where()
의 가장 큰 장점은 우선순위(specificity)가 0이라는 점입니다. 이는 스타일 재정의가 필요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기본 스타일을 정의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쉽게 재정의할 수 있게 해줍니다.
/* 기본 스타일 - 낮은 우선순위 */
:where(button, .btn, [type='submit']) {
padding: 0.5em 1em;
background-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ccc;
}
/* 특정 컨테이너의 버튼에 다른 스타일 적용 - 쉽게 재정의 가능 */
.form-container button {
background-color: #0066cc;
color: white;
}
/* 기본 스타일 - 낮은 우선순위 */
:where(button, .btn, [type='submit']) {
padding: 0.5em 1em;
background-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ccc;
}
/* 특정 컨테이너의 버튼에 다른 스타일 적용 - 쉽게 재정의 가능 */
.form-container button {
background-color: #0066cc;
color: white;
}
만약 :is()
대신 :where()
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두 번째 선택자를 더 구체적으로 만들어야 재정의가 가능했을 것입니다.
3.3 :has()
:has()
는 2022년에 도입된 의사 클래스입니다. 이 의사 클래스는 특정 요소가 자식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게 해주며, CSS 선택자의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다른 요소 안에 특정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역시 익스플로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지원하고 있으므로 충분히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has() 브라우저 지원 여부예를 들어, 특정 요소가 자식으로 링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만 스타일을 적용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에서는 div
요소가 a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만 배경색을 변경합니다.
3.3.1 실용적인 활용
:has()
선택자는 특히 조건부 스타일링에 강력합니다.
- 이미지가 포함된 카드만 다르게 스타일링
.card:has(img) {
padding-top: 0;
}
.card:has(img) {
padding-top: 0;
}
- 필수 입력 필드(*)가 있는 라벨 강조
label:has(.required) {
font-weight: bold;
}
label:has(.required) {
font-weight: bold;
}
- 빈 목록 표시 방식 변경
ul:not(:has(li)) {
display: none;
}
ul:not(:has(li)) {
display: none;
}
이러한 활용 방식은 기존에는 JavaScript로만 가능했던 조건부 스타일링을 순수 CSS로 구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