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타닉 생존자 분석
1. 타이타닉 생존자 예측
타이타닉 생존자 예측은 캐글에서 가장 유명한 경진대회 중 하나입니다. 데이터는 승객의 정보와 생존 여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정보는 train.csv
, test.csv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진대회의 목표는 train.csv
데이터를 이용하여 머신러닝을 통해 test.csv
데이터의 생존 여부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다만 우리 수업에서는 머신러닝을 다루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를 불러와서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실습하는 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전처리, 기초 통계 분석, 시각화 등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분석 과정은 실무에서도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이므로, 실습을 통해 데이터 분석의 전반적인 흐름을 익힐 수 있습니다.
해당 챕터는 차례대로 실행을 해야하며, 중간에 실행하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니북스에서는 그래프에서 한글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또한 위니북스에서는 show()
를 사용하지만 코랩 환경에서는 plt.show()
를 사용하여 그래프를 출력해야 합니다. 붙여넣기를 할 수 있도록 항상 주석으로 plt.show()
를 함께 제공해드리겠습니다. 아래 코드를 실행하고 진행해주세요.
2. 라이브러리 및 데이터 불러오기
colab 환경에서는 아래와 같은 코드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https://weniv.link/titanic')
df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https://weniv.link/titanic')
df
다만 위니북스에서는 위의 코드를 실행시킬 수 없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이후의 코드는 대부분 유사합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이렇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 데이터 확인 및 기초 통계
데이터 분석의 첫 단계는 주어진 데이터셋을 철저히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데이터의 구조, 각 특성의 의미, 그리고 기본적인 통계 정보를 살펴볼 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데이터의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추후 분석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먼저, 데이터의 기본 정보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여기서 출력된 (891, 12)는 (행, 열)
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셋에는 891개의 행(승객)과 12개의 열(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에서 가장 먼저 하는 것은 데이터 확인입니다. 데이터의 상위 5행을 확인하면 각 열이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데이터를 보고 싶다면 head(10)
과 같이 숫자를 넣어주면 됩니다. 하위 5행을 확인하고 싶다면 tail()
을 사용하면 됩니다.
'PassengerId'는 각 승객의 고유 식별자, 'Survived'는 생존 여부(0: 사망, 1: 생존), 'Pclass'는 객실 등급, 'Name'은 승객의 이름, 'Sex'는 성별, 'Age'는 나이, 'SibSp'는 함께 탑승한 형제자매와 배우자의 수, 'Parch'는 함께 탑승한 부모와 자녀의 수, 'Ticket'은 티켓 번호, 'Fare'는 요금, 'Cabin'은 객실 번호, 'Embarked'는 승선 항구를 나타냅니다.
기본 통계 정보를 확인하면 각 수치형 특성의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분포와 특성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ge' 열의 평균값은 약 29.7세이고, 최소 0.42세에서 최대 80세까지의 분포를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info()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데이터프레임의 각 열에 대한 정보(데이터 타입, 결측치 여부 등)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수치형 데이터와 범주형 데이터
수치형 데이터는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데이터로, 예를 들어 나이, 키, 몸무게 등이 있습니다. 반면 범주형 데이터는 이산적인 값을 가지는 데이터로, 예를 들어 성별, 혈액형, 학력 수준 등이 있습니다. 수치형 데이터는 연산이 가능하며,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범주형 데이터도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하여 분석에 활용합니다.
다음으로, 결측치와 각 열의 고유값 개수를 확인해보겠습니다.
결측치는 데이터셋에 누락된 값이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결측치가 있는 경우, 이를 처리해야 하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결측치를 채우거나 해당 행 또는 열을 삭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결측치 처리는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단계입니다.
결측치 확인 결과를 보면, 'Age' 열에 177개, 'Cabin' 열에 687개, 'Embarked' 열에 2개의 결측치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향후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 처리해야 할 중요한 사항입니다.
고유값 개수를 확인하면 각 열의 고유값 개수를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Sex'를 보면 2개의 고유값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성별이 남성과 여성 두 가지로 구분되기 때문입니다.
왜 범주형 데이터는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해야 하나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수치로 데이터를 연산해야 하기 때문에, 범주형 데이터를 수치형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범주형 데이터를 수치형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환은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머신러닝은 단순하게 표현하면 행렬의 연산입니다. 모델은 결국 수식입니다.
이러한 기초 통계 분석을 통해 우리는 데이터의 전반적인 구조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향후 더 깊이 있는 분석을 위한 기반이 됩니다. 예를 들어, 'Survived' 열의 평균이 약 0.384라는 것은 전체 승객의 약 38.4%가 생존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추후 생존율 분석의 기준점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Age' 열의 결측치가 많다는 점은 나이와 생존율의 관계를 분석할 때 주의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Cabin' 열의 결측치가 매우 많다는 점은 이 정보를 사용할 때 신중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이러한 기초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처리와 더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결측치 처리, 범주형 변수의 인코딩, 특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전처리는 분석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결측치 처리, 불필요한 특성 제거, 범주형 데이터를 수치형 데이터로 바꾸는 범주형 데이터 인코딩 등을 수행합니다.
먼저, 필요한 열을 만들고, 불필요한 열을 제거하고 결측치를 처리해보겠습니다.
drop()
함수를 사용하여 'PassengerId', 'Name', 'Ticket' 열을 제거했습니다. 이 열들은 승객의 생존 여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판단되어 제거했습니다. 'Name'의 경우 일부 유용한 정보(예: 직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 분석에서는 단순화를 위해 제외했습니다. 2번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미 제거된 열을 다시 제거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이미 'SibSp'와 'Parch' 열을 활용하여 'FamilySize' 열을 만들었기 때문에 보통 'SibSp'와 'Parch'도 함께 지워줍니다.
fillna()
함수를 사용하여 결측치를 채울 수 있습니다. 결측치는 'Age'의 중앙값으로 대체했습니다. 중앙값을 사용한 이유는 평균값보다 극단값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입니다. 나이 데이터의 경우 극단값(매우 어리거나 매우 나이 든 승객)이 있을 수 있어 중앙값이 더 적절한 대체값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남자와 여자의 나이 평균이 다르기 때문에 성별에 따라 중앙값을 대체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분석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다르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머신러닝 결과로 성능이 좋지 않다면 이러한 전처리 방법을 바꿔보는 것도 좋습니다.
mode()
함수를 사용하여 최빈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최빈값은 가장 많이 등장하는 값으로, 범주형 데이터의 결측치를 대체하는 데 유용합니다. 'Embarked' 열의 결측치를 최빈값으로 대체했습니다.
apply()
함수를 사용하여 'Cabin' 열의 결측치를 'No Cabin'으로, 값이 있다면 'Has Cabin'으로 변환했습니다. 이는 객실 번호 자체보다는 객실 배정 여부가 생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수행한 전처리입니다.
결과가 어떻게 변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PassengerId', 'Name', 'Ticket' 열이 제거되었고, 'Age', 'Embarked', 'Cabin' 열의 결측치가 처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info()
함수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상태를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측치 개수를 확인하면 'Age', 'Embarked', 'Cabin' 열의 결측치가 모두 처리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모든 특성이 결측치 없이 처리된 상태가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범주형 데이터를 인코딩하겠습니다.
이 코드에서는 'Sex', 'Embarked', 'Cabin' 열에 대해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을 수행했습니다. 원-핫 인코딩은 각 범주를 별도의 이진 열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Sex' 열은 'Sex_female'과 'Sex_male' 두 개의 열로 변환됩니다. 여성인 경우 'Sex_female'이 1, 'Sex_male'이 0이 되고, 남성인 경우 그 반대가 됩니다. 이렇게 인코딩을 하면 범주형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머신러닝 모델에 입력할 수 있게 됩니다.
'Embarked'와 'Cabin' 열도 같은 방식으로 인코딩되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모든 특성이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되었습니다.
전처리 과정을 마친 후, 우리는 데이터의 최종 상태를 확인합니다. 결측치가 모두 처리되었고, 모든 특성이 수치형으로 변환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이 데이터셋은 추가적인 분석이나 머신러닝 모델 학습에 사용될 준비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은 데이터 분석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ge' 결측치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나이와 생존율의 관계 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Cabin'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객실 정보와 생존율의 관계 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처리 과정에서 취한 각각의 결정에 대해 그 이유를 명확히 이해하고, 필요하다면 다른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Age' 결측치를 평균값으로 대체하거나, 'Cabin' 정보를 더 세분화하여 활용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이렇게 전처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더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각 특성과 생존율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거나,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5. 데이터 분석
데이터 전처리를 마친 후, 이제 본격적인 데이터 분석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각 특성과 생존율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패턴을 찾아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다양한 시각화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특성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전체 생존율을 확인해보겠습니다.
colab환경에서는 plt.show()
를 사용하여 그래프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display()
함수는 위니북스 환경에서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이 원형 그래프는 전체 승객 중 생존자와 사망자의 비율을 보여줍니다. 결과를 보면, 전체 승객 중 약 38.38%가 생존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타이타닉 침몰 사고의 심각성을 잘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과반수 이상의 승객이 사망했다는 사실은 이 사고가 얼마나 치명적이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해보겠습니다.
이 막대 그래프는 성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결과를 보면, 여성의 생존율이 남성보다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여성과 어린이 먼저" 원칙이 적용되었음을 시사합니다. 당시의 사회적 규범과 구조가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객실 등급에 따른 생존율도 살펴보겠습니다.
이 그래프는 객실 등급별 생존율을 보여줍니다. 1등급 승객의 생존율이 가장 높고, 3등급 승객의 생존율이 가장 낮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상위 등급 객실이 구명보트에 더 가까웠거나, 더 나은 정보와 자원에 접근할 수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또한, 이는 당시의 사회경제적 계층과 생존 기회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나이 분포와 생존율의 관계도 분석해보겠습니다.
이 히스토그램은 생존자와 사망자의 나이 분포를 보여줍니다. 또한, 나이대별 생존율을 계산하여 출력했습니다. 이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
어린 나이대(특히 0-10세)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이는 "여성과 어린이 먼저" 원칙이 적용되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해줍니다.
-
20-40세 사이의 승객들의 생존율이 가장 낮습니다. 이 연령대가 주로 성인 남성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
60세 이상 고령 승객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지만, 생존율은 중간 정도입니다. 이는 나이든 승객들에게도 일정 수준의 배려가 있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타이타닉 침몰 당시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성별, 객실 등급, 나이 등이 생존 확률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당시의 사회적 규범, 경제적 계층, 그리고 구조 작업의 우선순위 등을 반영하는 중요한 데이터입니다.
이후 좀 더 복잡한 데이터 분석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좀 더 복잡한 데이터 분석은 통계학적 지식이 필요하므로, 이번 챕터는 여기까지 진행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분석이 이뤄진 이후에는 머신러닝 모델을 학습시켜 생존자 예측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학습, 예측 등 머신러닝에 대한 내용은 아래 강의에 다뤄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초급자를 위한 딥러닝